본문 바로가기
생활속 과학

철도·지하철 소리의 공진 구조와 진동 주파수: 음향·진동 분석

by 너의sunday 2025. 11. 13.

철도와 지하철은 현대 도시 생활에서 필수적인 교통수단이지만, 그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공학적·환경적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차량 주행, 레일 접촉, 전동기 진동 등 다양한 원인이 결합하여 철도 소리에는 다층적 공진 구조와 주파수 특성이 형성된다. 본 글에서는 대학 전공 수준에서 철도·지하철 소리의 생성 원리, 공진 구조, 진동 주파수, FFT·PSD 분석, 그리고 설계적·환경적 응용까지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1. 철도 소리 발생의 물리적 메커니즘

철도 소리는 크게 세 가지 물리적 현상에서 발생한다.

1-1. 레일-차륜 접촉 진동

철도차량의 바퀴가 레일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찰 진동은 주요 소음원이다. 레일 표면의 미세 불균형과 차륜 결함은 **주기적 충격(force impulse)**을 만들어, 저주파에서 중주파 범위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 충격 주파수(f)를 계산할 때, 레일 간격(d)과 차량 속도(V)를 이용할 수 있다.

f=Vdf = \frac{V}{d}

  • 예: 차량 속도 60 km/h(16.67 m/s), 레일 이음매 간격 25 m → f ≈ 0.67 Hz(저주파 성분)

1-2. 차량 구조물의 진동 모드

차량 본체, 바퀴, 현가장치, 차체 프레임은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갖는다. 이러한 진동 모드는 **차량 구조 공진(structural resonance)**을 통해 증폭되어 소리를 형성한다.

  • 단순한 단자유도계(SDOF) 모델로 고유진동수 fnf_n 추정:

fn=12πkmf_n = \frac{1}{2\pi} \sqrt{\frac{k}{m}}

  • kk: 차체 또는 현가장치의 유효 강성
  • mm: 해당 구조물의 질량
  • 다자유도계(MDOF) 모델을 적용하면, 여러 구조 모드가 동시에 작용하며 다층적 주파수 스펙트럼을 형성한다.

1-3. 전동기 및 브레이크 작동 소음

전동기 구동 및 전기적 제동 장치는 고주파 소음을 발생시킨다. 브러시나 전류 변동에 따른 전자기 진동이 음향으로 전달되며, 고주파(<2 kHz) 성분을 주로 구성한다. 또한 제동 시 열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 진동도 추가된다.


2. 지하철 특유 소음의 공진 구조

지하철 터널은 폐쇄 공간이므로 공기 공진 및 음향 반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터널 내 음속 cc와 단면 길이 LL에 따라 **공진 주파수(f_n)**를 계산할 수 있다.

fn=nc2L,n=1,2,3,...f_n = \frac{n c}{2 L}, \quad n = 1,2,3,...

  • nn: 모드 번호
  • 터널 단면과 곡선 구간은 난반사와 주파수 변화를 유도하며, 일부 주파수는 증폭된다.

또한, 레일-차륜 진동 → 바닥 구조물 → 터널 공기 → 승객석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 전달 경로(transmission path)가 복잡하게 결합한다. 이로 인해 저주파(<100 Hz)는 구조물 공진을 통해, 중·고주파(100 Hz~2 kHz)는 공기 공진과 레일 접촉 진동을 통해 각각 관측된다.


3. FFT와 PSD 분석을 통한 주파수 특성 평가

철도·지하철 소음은 시간 영역에서 마이크로폰이나 가속도계로 기록된다. FFT(Fast Fourier Transform)와 PSD(Power Spectral Density) 분석을 통해 주파수별 에너지 분포를 정량화할 수 있다.

  • 저주파(<100 Hz): 구조물 공진, 레일 결함, 차량 하부 진동
  • 중주파(100~1000 Hz): 레일 접촉, 차륜 표면 불균형
  • 고주파(1~5 kHz): 전동기, 브레이크, 공기 마찰 소음

PSD를 분석하면 차량 속도, 하중, 레일 상태, 터널 단면 구조 등이 주파수별 에너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 가능하다.


4. 실험 및 시뮬레이션 사례

  1. 야외 철도 측정
    • 다양한 속도와 차량 하중에서 레일과 차륜 접촉 소음 기록
    • PSD 분석 결과, 속도 증가에 따라 저주파와 중주파 에너지 증가 확인
  2. 터널 내 지하철 소음 측정
    • 터널 단면과 열차 통과 속도에 따른 공진 주파수 관찰
    • 터널 단면 길이와 음속에 기반한 공진 예측과 실제 측정치 일치
  3. 유한요소(FEA) 구조 진동 시뮬레이션
    • 차량 차체와 바닥 구조물 모델링
    • 진동 모드 분석 → 구조물 공진 주파수와 소음 스펙트럼 비교
    • 실제 측정과 높은 상관관계 확인

5. 응용 및 학술적 의미

  • 도시 교통 소음 저감 설계: 차량 구조, 레일 설계, 터널 단면 최적화
  • 승객 쾌적성 개선: 좌석 배치, 방음재 배치, 진동 차단
  • 환경 영향 연구: 철도 소음이 인근 주거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음향 합성 및 VR: 현실감 있는 지하철/철도 소리 재현

6. 결론

철도·지하철 소리는 차륜-레일 접촉, 차량 구조물 진동, 전동기 및 제동 소음, 터널 공기 공진이 결합된 다층적 음향 구조를 갖는다. FFT와 PSD 분석을 통해 주파수별 에너지 분포를 정량화함으로써 차량 구조, 레일 상태, 터널 설계의 영향까지 평가 가능하다. 이러한 분석은 교통 소음 저감, 승객 쾌적성 향상, 환경 영향 평가, 음향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술적·기술적 가치를 제공한다.